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배우자 출산휴가 20일 언제부터? 출산휴가 기간, 급여신청방법

by creatornim 2025. 4. 4.

25년부터 달라진 출산·육아 지원제도는 어떤 것일까요?
주요 내용으로는 (근로자) 육아휴직 기간 연장(최대 1년 6개월), 육아휴직 급여 인상(월 최대 250만원),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20일)인데요, 그 중 개편된 배우자 출산휴가 제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부터 달라지는 출산 육아 지원제도 바로가기

 

고용노동부 일생활균형

일과 삶의 균형으로 일도 생활도 즐겁게

www.worklife.kr

 

 

2025년부터 달라지는 출산육아 지원제도 리플릿(2).jpg
1.58MB
2025년부터 달라지는 출산육아 지원제도 리플릿(1).jpg
1.90MB

 

배우자 출산 휴가란?

 

배우자 출산휴가는 출산을 한 근로자의 배우자가 사용할 수 있는 법정 휴가로, 출산 직후 배우자가 육아와 산후 회복을 지원할 수 있도록 보장된 제도입니다.

 

25년부터 남편출산휴가라고도 하는 배우자 출산휴가가 확대 개편되면서 근로자들의 혜택이 더욱 커졌습니다.

2025 배우자 출산휴가
2025 배우자 출산휴가 개편, 고용노동부

 

 

배우자출산휴가 20일 언제부터 쓸 수 있을까요?

 

배우자 출산휴가 제도가 2025년부터 확대되어 근로자의 권익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이번 개편을 통해 휴가 기간이 늘어나고, 급여 지원이 확대되며, 유연한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

  기존 25년 변경 사항
휴가 기간 10일 20일
사용 기한 출산한 날부터 90일 이내 출산한 날부터 120일 이내
급여 지원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우 5일 지원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우 20일 전부 지원
분할 사용 가능 횟수 최대 2회 (1회 분할) 최대 4회 (3회 분할)

 

즉, 중소기업 근로자의 배우자는 출산 후 최대 120일 이내에 20일간 출산휴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최대 4번까지 나누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배우자 출산휴가 신청 방법

 

배우자 출산휴가는 고용노동부 고용보험 홈페이지 및 사업장 담당 부서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휴가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서류가 필요합니다.

  • 배우자의 출산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출생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등)
  • 출산휴가 신청서
  • 근로 계약서(필요한 경우)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우, 사업주가 급여를 지급한 후 고용센터를 통해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고용주가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

배우자 출산휴가는 법적으로 보장된 휴가이므로, 사업주는 근로자에게 최대 20일간 출산휴가를 반드시 부여해야 합니다.

* 출산휴가 미부여 시 과태료 부과, 배우자 출산휴가를 부여한 경우, 중소기업 사업주는 고용센터에 급여를 신청하여 지원금을 받을 수 있음

 

배우자 출산휴가 활용 TIP

  • 출산 후 초기 육아가 중요한 시기이므로 적절한 시기에 휴가를 계획하여 사용
  • 출산 후 배우자와의 협의를 통해 분할 사용을 효과적으로 활용 (예: 출산 직후 10일, 산후 회복 후 5일, 육아 적응기 5일 등)
  • 회사와 미리 협의하여 원활한 휴가 사용 가능하도록 조정

25년 확대되는 배우자 출산휴가 제도, 고용노동부

 

이번 배우자 출산휴가 개편으로 인해 근로자의 육아 참여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5년 변경된 육아휴가, 배우자출산휴가 제도 등을 자세히 살펴보시고, 계획있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